청약의 신 월용 쌤 인사이트 정리(+청약 당첨 확률 높이는 진짜 비법, 5천으로 1억 벌기)
집이 있는 사람은 청약이 필요없을까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청약에는 전략이 필요하며, 공부하고 청약하면 좋은 성과를 낼수 있다고 합니다. 청약의 신 월용 쌤의 청약 당첨 확률 높이는 진짜 비법, 5천으로 1억 벌기의 인사이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1. 청약은 운이 아니다, 전략이 필요하다
✔ 많은 사람들이 "어차피 안 될 거다"라고 생각하지만,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확률을 높일 수 있음
✔ 청약 점수를 예측하고, 적절한 타입과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
✔ 실제로 전문가인 월용 쌤은 10년간 연구하며 당첨 패턴을 분석해 수십 명을 당첨시킴
2. 청약의 기본 개념
✔ 가점제 vs. 추첨제: 점수 높은 사람이 유리한 가점제와 랜덤으로 뽑히는 추첨제
✔ 1순위 vs. 2순위
- 1순위는 특정 조건(서울은 청약 통장 가입 1년 이상 + 최저 예치금 300만 원 충족)을 만족해야 함
- 2순위는 미달이 난 경우 기회가 주어짐.(일반적으로 예치금이나 가입기간 상관없이 랜덤하게 추첨)
- 지역별 차이: 서울은 1년 이상 가입해야 하지만, 지방은 6개월만 가입하면 1순위 가능
3. 어떤 전략으로 청약을 넣어야 하나?
✔ 미달날 곳 중에서도 가성비 있는 곳을 찾아내는 안목이 중요
✔ 강남 84㎡(34평)는 가점제와 추첨제가 40:60으로 배분됨
✔ 강남 같은 인기 지역은 경쟁률이 매우 높고, 가점이 60점 이상이어야 당첨 가능
✔ 젊고 가점이 낮은 사람 → 추첨제 공략, 무주택 기간 길고 점수 높은 사람 → 가점제 공략
✔ 비규제지역에서는 85㎡ 초과 아파트가 100% 추첨제로 진행되므로, 점수 낮은 사람은 중대형을 공략하는 것이 유리
4. 청약 가점의 현실과 만점 기준
✔ 만점은 84점 (무주택 15년, 청약 통장 가입 15년, 7인 가족(예를들어, 3명을 낳고 부모님 모시고 살면 7명)
✔ 현실적인 최대 점수는 69점 (4인 가족 최대 점수)
✔ 강남권에서는 5인 이상 가족이 당첨되는 경우가 많음
✔ 부모님과 같이 살면서 가점을 높이는 경우 부적격 판정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5. 부적격 사례 및 청약 심사 강화
✔ 청약 당첨 후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등록했지만, 실제 병원 기록이 다른 지역에서 나오면 적발됨
✔ 국토부에서 건강보험 요양 급여 내역을 조사해 위장전입 여부를 판단
✔ 적발되면 당첨 취소 및 불이익 발생
6. 당첨 확률을 높이는 방법
✔ 자주 바뀌는 청약제도 정책을 알고 숙지하고 있어야 기회를 잡을수 있음
✔ 가점제 경쟁률이 높은 경우, 추첨제 비율이 높은 타입을 공략
✔ 인기 타입(50대 1 경쟁)보다는 덜 인기 있는 타입(2대 1 경쟁) 공략
- 투자전략:가장 싼걸 샀다가 제 값에 비싸게 판다
✔ 미달이 난다고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님. 오히려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음
7. 청약을 어려워하는 이유와 시장 상황
✔ 청약 제도가 복잡해지고, 분양가가 높아져 사람들이 부담을 느낌
✔ 당첨 후 가격이 오를지 판단이 어려워 망설이는 경우 많음
✔ 분석 없이 무조건 청약하면 위험, 당첨될 아파트가 가격이 적정한가를 판단해야 함
✔ 신축 아파트 가격과 기존 아파트 가격의 ‘커플링 현상’을 고려해야 함 (예: 강남이 오르면 잠실도 오름)
8. 월룡 쌤의 '3년 5% 이론'
✔ 신축 아파트는 3년마다 5%씩 감가된다는 이론
- 예: 20년 된 아파트가 10억이면, 신축의 적정가는 15억
✔ 이 계산법으로 신축 분양가가 적절한지 판단 가능
✔ 분양가가 적정 가격보다 높으면 청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9. 실제 청약 당첨 사례 분석
1) 22년 12월 철산 자이더 헤리티지 59㎡(24평) (7,800만원으로 최소 2억 수익)
✔ 분양가 중층 7.8억, 계약금 7,800만 원
✔ 현재 10억
2) 23년 04월 광명 자이더샵 포레나 39㎡(17평) (4.5억 → 현재 5.5억 이상, 1억 수익)
✔ 광명1구역 재개발
✔ 입지분석, 단지분석, 타입분석, 과거사례 까지 다 살펴봐야한다.
✔ 월용쌤 이론 : 39㎡(17평) 는 84㎡(34평) 가격의 절반이다.
✔ 84㎡의 가격을 보고 싼지 안싼지 판단한다.
- 84㎡ 가 11억 이므로 39㎡ 적정가는 5.5, 안전하게 5억 , 분양가가 4.5이므로 싸다.
✔ 39㎡ 의 맞는 가구
- 청년1인가구(3~5천 내집마련 또는 투자용)
- 다주택자 소액투자 개념
✔ 39㎡ 나 84㎡ 나 P가 똑같다.
3) 23년 05월 인덕원 퍼스비 49㎡(21평) (5.5억 → 현재 6.8억, 1억 이상 수익)
✔ 의왕시 아파트 84㎡ 11억
✔ 21평은 34평의 3분의2 면적이므로 약 66% 가격이 적정
✔ 옆단지와 비교하여 분양가 적정성 분석
10. 현재 청약 시장 전망
✔ 청약 당첨 후 2년 보유 또는 거주 시 세금 혜택 및 가격 상승 가능성 증가
✔ 고분양가 논란은 계속되지만, 공급 부족이 더 큰 문제
✔ 서울 및 수도권은 공급 감소가 지속될 예정 → 청약의 중요성이 커질 것
✔ 지금이라도 공부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청약을 통한 수익 창출 가능
📌 청약은 무작정 넣는 것이 아니라 분석과 전략이 필수입니다. 인기 타입을 피하고, 적정 가격을 판단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전략입니다. 5천만 원으로 1억을 버는 청약 기회는 여전히 존재하며, 공급 부족으로 인해 앞으로도 청약 시장은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