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세 계약 최대 10년 연장(+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법안 핵심 요약)

맘2 2025. 3. 17.

 

2025년 3월 더불어민주당에서 주택임대차보호법을  개정하는 법안을 발의 했습니다.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큰 이슈가 될 수 있는문제이므로 어떤 내용인지 핵심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 계약 최대 10년 연장(+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법안 핵심 요약)

1. 법안 개요

전세 계약을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됨

기존 2+2년(2년 거주 + 2년 연장)에서 2년씩 연장하여 최대 10년 거주 가능

전세금 인상은 한 번 연장 시 최대 5%까지 가능

2. 법안 취지 및 영향

임차인 보호: 전세금 급등으로 인해 세입자가 쫓겨나는 문제 해결 목적

집주인 반발: 장기 거주로 인해 전세 공급이 줄어들고, 전세 가격이 처음부터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있음

시장 영향

  • 전세 물량 부족 → 전세 가격 상승 → 집값 상승
  • 월세 전환 증가 → 월세 폭등 가능성

4. 전세 시장 변화 예상

전세 공급 감소로 인해 전세 물량 부족 문제 심화

집주인들이 초기 전세금을 대폭 인상할 가능성이 높음

월세 전환 가속화로 인해 월세 부담 증가

전세가 상승 시 집값 상승을 유발하는 악순환 가능성

과거 2+2 정책으로 인해 전세물량 감소, 전세가 폭등, 집값 상승, 월세 전환 등 예상보다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함. 결과적으로 임차인 보호를 위해 만든 법이 오히려 전세난을 심화시키는 역효과를 초래했다는 평가가 많음

5. 세입자 선호 조사 결과

2+2년(현행 제도) 선호: 54.1%

오히려 2+1년을 원하는 사람들도 많음 (긴 계약을 무조건 좋아 하지 않음)

6. 정치권 개입 문제

지나친 정책 개입은 시장의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음

공급을 늘리는 정책이 더 중요하며, 시장 원리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함

 

 

댓글